담배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돼 많은 흡연자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지난 1일, 유니버시티 컬리지 런던(UCL)은 흡연자나 담배를 피웠다 끊은 금연자가 담배를 피지 않은 사람보다 더 많은 통증을 가지고 산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지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BBC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 22만 여명을 대상으로 ‘얼마나 많은 통증을 느끼며 사는지’에 대해 0~100점 사이 점수로 표시해 진행됐습니다.
통증이 강할수록 100에 가까운 점수를 주는 방식으로 진행했는데, 조사 결과 흡연 경험이 있거나 현재 흡연 중인 사람은 담배를 피운 적이 없는 사람보다 고통을 느끼는 점수가 평균 2점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이미 담배를 끊은 금연자도 비흡연자에 비해 고통지수가 높게 나왔다는 점.
이번 결과에 대해 UCL 연구진은 담배의 화학 물질로 인한 신체 조직 손상이 통증으로 이어진다는 가설과 흡연으로 인한 호르몬 이상이 통증을 유발한다는 가설 등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통증이 흡연에 의한 한 것이 아닐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됐습니다. 정신적, 신체적 통증이 원래부터 심한 사람들이 담배에 의존해 통증을 적게 느꼈던 것일 수 있다는 것인데요.
즉, 통증의 일부를 담배로 이기던 이들이 금연 후 통증을 크게 느낀다는 것.
이번 실험에 대해 올가 퍼스키 UCL박사는 “가장 중요한 발견은 흡연자들이 더 많은 통증을 느낀다는 것”이라며 “가설과 관련해 더 확실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담배는 연기 속 니코틴 성분에 중독 돼 끊기 어려워지는데요. 담배를 피면 니코틴 성분과 함께 독성물질이 폐에 진입해 혈액으로 녹아들어가 단 7초 만에 뇌의 쾌락 중추에 도달한다고 합니다.
이때 쾌락중추에 니코틴이 붙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수용체가 있는데 여기에 니코틴이 결합하면서 뇌에서는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이 분비되게 됩니다.
도파민은 즐거움을 느낄 때 분비되지만, 술이나 마약 같은 약물에 의해서 많은 양이 분비되는데, 담배 역시 도파민을 많이 분비되게 하는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담배를 피면 도파민 분비로 인해 쾌감을 느끼고, 이로 인해 쉽게 담배를 끊지 못하게 되는 것.
이처럼 한번 시작하면 끊기 어려운 담배.
이번 결과 외에도 담배가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수없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가족을 위해, 자신의 건강을 위해, 그리고 간접흡연자들에게 끼치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금연을 결심한 흡연자들이 금연성공을 결심하는 새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