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종일 아이를 돌보는 엄마.
먹이고, 재우고, 기저귀를 갈고, 울면 달래주고. 이렇게 반복된 행동을 하다 보면 엄마의 허리와 손목은 남아나질 않습니다.
실제로 엄마가 주 양육자인 가정의 엄마들의 경우 허리와 무릎, 손목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아이를 계속 안거나 업으면서 허리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 같은 허리병이 생기기도 합니다.
고도일 병원의 고도일 병원장은 “허리에 이상이 없는 경우라도 아이를 안는 동작을 반복하면 허리에 탈이 나기 쉽고, 실제로 아기를 안아주다가 허리를 다치는 일이 꽤 많다”고 이야기 합니다.
이는 일어선 채로 허리를 굽혀 아이를 안아 올리는 동작이 허리에 부담을 많이 주는 자세이기 때문. 허리 힘만으로 아이를 안게 되면 허리에 과도하게 부하가 걸리고, 허리를 숙였다가 펴는 동작으로 디스크와 인대, 후관절에도 무리를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안기보다는 업어라
아이를 안는 것 보다는 업는 것이 상대적으로 허리에 부담을 덜 준다고 합니다. 따라서 포대기나 아기띠를 사용해 등과 허리에 아기를 밀착시킨 후 아이의 허리부터 엉덩이까지 넓게 둘러매 허리에 부담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도 하루에 30분 이내로 업어야 허리에 무리가 없습니다.
또한 안아 올려야 하는 상황에서는 허리를 구부리지 말고 다리를 굽힌 후 아이를 최대한 몸 쪽으로 바짝 당겨 서서히 일어나야 허리에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낮은 바닥에서 들어올리는 것 보다 아기침대를 사용해 허리 이상의 높이에서 안아 주는 것이 허리에 무리가 덜 가게 도울 수 있습니다.
엄마의 손목과 무릎도 위험하다
허리 외에도 아기를 안고 자주 앉았다 일어났다 하는 자세를 반복해 무릎에 무리가 오고, 이와 함께 손목과 팔꿈치 어깨 등에 통증이 생기게 됩니다.
이는 아이의 머리를 받치거나, 아이의 엉덩이를 받쳐 안는 등 무리한 손목 사용으로 인한 것인데요.
특히, 손목이 많이 아프고 특히 엄지손가락을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하다면 드퀘르벵 증후군을 의심해야 합니다.
드퀘르벵 증후군은 손목건초염의 일종으로 엄지손가락으로 지나는 힘줄과 힘줄막에 염증이 생겨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육아 때문에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여성들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김성권 고도일병원 줄기세포센터 원장은 “엄지손가락에 무리하게 힘을 주면서 받치거나 손목을 옆으로 꺾은 자세로 힘을 쓰면 엄지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이 손상되고 염증이 발생해 손가락을 움직이거나 손목을 굽히고 펼 때 통증이 나타난다”며 “증상이 심해지면 젓가락질을 하거나 펜을 잡는 등의 사소한 동작도 어려워지고, 심한 통증 때문에 손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생긴다”고 말했습니다.
드퀘르벵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은 손목을 무리하게 사용하지 않는 것.
특히 아직 머리를 가누지 못하는 아이에게 모유나 분유를 먹을 때 손에 힘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럴 때는 바닥에 아이를 눕힌 후 먹이거나 아이와 함께 누워 팔베개를 해주고 먹이면 어깨와 팔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집에서 아이를 안을 때는 힙시트 등을 활용해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고, 보행기나 유모차 등을 활용해 안는 시간을 줄이도록 합니다.
아이와 하루 종일 그야말로 ‘씨름’을 해야 하는 엄마.
울면 안아주고, 먹이고 트림을 시켜주기 위해 안아주고, 재우기 위해 안아주고, 자고 일어나면 안아주다 보면 정작 엄마의 몸은 하나 둘 씩 망가지게 됩니다.
하지만 엄마가 행복해야만 아이에게도 그 행복이 사랑으로 전해진 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엄마가 행복한 육아. 가장 중요하다는 것 잊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