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 우리가 흔히 먹던 '이 것' 이 알고보니 발암물질이다?

찬 바람이 불게 되면 꼭 생각나는 음식이 하나 있죠? 여러 국물 요리들이 생각나시겠지만, 그 중에서도 밖에서 사먹는 오뎅과 오뎅국물 한 잔이 가장 생각이 많이 나실거에요.

 

겨울철 추위를 이길 수 있고, 또 배도 든든하게 채울 수 있는 아주 좋은 간식이죠.

 

또 그 외에도 뜨끈한 뚝배기 요리들이라던지, 뜨거운 팥앙금이 가득한 붕어빵까지 !

 

실제로 뜨거운 음식을 먹는다면 심부 체온이 오르게 되어 효율적인 보온 효과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뜨거운 커피 한잔도 놓칠 수 없는데요.

 

우리에게 친숙한 이 뜨거운 음식들이 우리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뜨거운 음식은 '발암물질'에 해당한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산하 기관인 국제암연구센터는 '뜨거운 음식'을 암 유발 가능성이 높은 발암인자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뜨거운 음식이 식도나 위 점막에 손상을 일으켜 염증 및 암의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어쩌다 먹는 뜨거운 음식이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뜨거운 음료나 국물을 자주 들이킨다면 건강에 적신호가 생길 수 있습니다.

뜨거운 음식이 식도암을 부른다?

식도는 위장과 다르게 보호막이 없기 때문에 외부 자극으로 쉽게 손상이 될 수 있는데요. 뜨거운 음식이 나왔을 때 바로 삼키면 식도 자체가 화상을 입고 염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음식을 매우 뜨거운 상태로 먹는 것이 식습관으로 굳어지게 되면 계속된 식도의 자극으로 염증이 나았다 생겼다를 반복하게 되면서 세포가 돌연변이로 바뀌게 되면서 암세포로 변화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60도 이상 뜨거운 음식을 섭취하면 식도암 발병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는데요.

뜨거운 음식 뿐만 아니라 음료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란 테헤란 의대 연구팀은 40~75세 성인 약 5만명을 대상으로 10년동안 추적하여 관찰했을 때, 하루 60도 이상 차를 70mL 이상 마시는 사람은 60도 이하 차를 마시는 사람보다 식도암 발병 위험이 90%나 높은 것으로 보았는데요.

 

특히 차가 끓은 후 2분이 지나기도 전에 마시는 사람은 식도암에 걸릴 위험성이 더 크다고 보았습니다.

 

이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세계보건기구는 2016년 65도 이상의 뜨거운 음료를 발암물질로 지정하기도 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뜨거운 음식으로 국물 음식과 차, 커피 등이 있는데요. 보통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찌개는 60~70도, 뜨거운 차 혹은 커피는 67~70도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이런 뜨거운 음식들을 건강하게 먹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1. 우선 몸을 녹여줍니다.

추위에 오랜 시간 노출 되었다면 입안의 온도도 많이 낮아져 있는 상태입니다. 뜨거운 음식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우선 몸을 녹여 안정적인 체온을 찾도록 합니다.

2. 미지근한 물을 먼저 마십니다.

음식을 먹기 전 미지근한 물을 먼저 마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치아뿐 아니라, 식도와 위에도 별다른 부담 없이 뜨거운 음식을 맛있게 즐길 수 있습니다.

3. 식혀서 먹거나, 덜어 먹습니다.

음식이 나온 뒤 약 3~5분 정도 식히고 먹거나 입으로 식혀서 조금씩 먹는 것이 안전하며, 그릇에 덜어 한 김 식힌후 먹는 것을 추천합니다.

 

추운 겨울 몸을 녹이려고 무심코 먹은 뜨거운 음식들이 우리의 건강을 해칠수도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방법으로 건강하게 섭취하여 다들 따뜻한 겨울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

댓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